홈 > 구미소식 > 농업.축산.산림
농업.축산.산림

‘구미시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개소

김영숙기자 0 608

6bc06a0ffab136a2233ac2f8286354d3_1752042535_2.jpg

~ 구미시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전경 ~


2025.7.9.() 15 : 30 구미시농업기술센터 내

 

~ 68종 가공기기 완비실전형 교육·창업지원 병행 ~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697_975.jpg

경북 구미시는 9일 구미시농업기술센터(구미시 선산읍 김선로 963, 소장 김영혁) 산하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819_0164.jpg
 

이날 개소식에는 김장호 시장, 양진오 구미시의회 부의장을 비롯한 도·시의원, 경북도농업기술원장, 유관기관 단체장, 지역 농협조합장, 농업인 교육생 등 100여 명이 참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미 갑, 을 구자근, 강명구 국회의원은 사정 상 참석치 못하고 축전으로 인사를 하였으며, 강명구 의원 보좌관 김현경 선생이 강의원을 대신해 참석하였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851_8168.jpg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는 연면적 4951층 건물로 전처리실, 위생전실을 포함 건식·습식 가공실, 외포장실, 사무공간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871_0293.jpg

~ 실내 입장을 위한 먼지 방지용 신발 커버(버선)를 신은 모습들 ~


센터는 총68100대의 농산물 가공기계를 구축해 착즙액, 농축액, , 절임류 등 습식가공제품부터 분말, , 고형차, 팽화과자 등 건식가공품까지 생산, 제품의 공동브랜드명 구미다미로 선보인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972_558.jpg
 

이처럼 다양한 제품군을 실험하고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진 덕분에 다양한 농산물 시제품 단계부터 상품화까지 모든 과정을 생산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6998_5237.jpg
 

무엇보다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의 가장 큰 강점은 실전형 교육기반이다. 시 농업기술센터가 운영 중인 농산물 가공교육과 연계, 이론을 실습으로 전환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7015_9946.jpg
 

이에 시 농업기술센터는 가공기술지원센터 개소 이후에도 농업인의 안정적인 가공기기 사용을 돕기 위한 교육을 지속 운영한다. 이를 통해 가공기술의 정확한 전달은 물론 장비활용도를 높이고 품질향상까지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시농업기술센터는 앞으로 농산물 가공제품의 품목을 확대하고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춰 단순한 제품생산을 넘어 지역 농산물 브랜드화란 장기적 목표를 실현할 핵심거점으로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를 활용할 계획이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7040_3941.jpg
 

김장호 시장은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가 단순한 제조공간이 아닌 구미농산물을 전국에 알리고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농업의 미래는 1차 생산에 머무르지 않는다.”가공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높은 소득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바로 구미농업이 나아갈 방향이라고 말했다.

 

78a99c923b2f86ba7c398c64970c1577_1752117059_9835.jpg
 

한편 구미농업기술센터는 구미농산물기술센터에서 생산, 판매되는 농산물 추출가공품에 대한 공동브랜드 구미다미라는 상표를 개발, 사용하기로 했으며, 출시를 준비 중인 상품에 적용한 샘플도 선보였다. 지역 농업인들의 기대와 관심이 대단히 높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이순락 기자

이메일 : gbmnews@naver.com

 



기사등록 : 김영숙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