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경북소식 > 경북소식
경북소식

동해안 에너지 산업벨트 핵심, 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 논의 본격화

이순락기자 0 80

dd54fe98f5677ac71725f1f807abf6ea_1763444192_9332.jpeg
 

동해안권 에너지 산업벨트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남북 10(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남북 10(영덕~울진~삼척) 고속도로 건설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주제로 열렸다.

 

토론회는 동해안권 남북 10축 고속도로 신설을 심도 있게 논의한 자리로, 박형수 국회의원(의성군, 청송군, 영덕군, 울진군)이 주최하고, 경상북도, 영덕군, 울진군 등이 주관했으며, 국토교통부가 후원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주최자인 국민의힘 박형수 국회의원을 비롯해 이만희 국회의원, 최은석 국회의원, 이상휘 국회의원, 김종양 국회의원, 김은혜 국회의원, 김대식 국회의원, 강승규 국회의원, 김광열 영덕군수, 손병복 울진군수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영덕~삼척 간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 김근욱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발제자로 나서, 남북 10(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대해 심도 있는 발표를 진행했다.

김근욱 부연구위원은 남북 10축은 대한민국인 수소경제로 가는 길목의 물류 동맥이자 에너지 안보 축이며, 남북 10축의 완성은 국토 균형의 완결이자, 환동해안권 도약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dd54fe98f5677ac71725f1f807abf6ea_1763444202_7339.jpeg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이성모 동북아협력인프라연구원 원장의 진행으로, 정성봉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조한선 한국교통연구원 박사, 장진영 강원연구원 박사, 김기대 국토교통부 도로정책과장, 이혜교 강원도 도로과장, 최병환 경상북도 도로철도과장이 남북 10축 고속도로 건설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최병환 경상북도 도로철도과장은 남북 10축 고속도로는 영덕과 울진, 삼척만의 도로가 아니며, 우리나라가 국가 균형을 유지하고,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모두가 잘 사는 균형성장을 비로소 완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경상북도는 현재 수립 중인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남북 10(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박형수 의원은 지난 118일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국가 간선망 완결의 최종 단계로 진입했으나,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벨트이면서 동해안 관광산업의 핵심지역인 영덕~삼척구간이 함께 완성되지 못한 점은 매우 아쉽다오늘 토론회를 통해 남북10축 고속도로 신설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참석해 주신 분들과 함께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간선도로망 중 남북10축은 총연장 433로 부산~고성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이 중 부산~남포항(100.8), 삼척~속초(121.9), 그리고 지난 118일 개통한 포항~영덕(30.9)이 공용 중이며, 미개설 구간으로 영일만 횡단 구간(18), 속초~고성(43.5), 그리고 영덕~삼척(117.9)이 남아있다.

 

특히, 미개설 구간 중 유일하게 국가 계획에 반영되지 못한 영덕~삼척 구간에 대해 경상북도는 올해 연말 고시 예정인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에 따르면 남북 10(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을 통해 포항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울진 원자력수소국가산단, 삼척 수소산업클러스터 등을 연결하는 수소·에너지 생산거점간 에너지벨트 확장과 한울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8㎞→30)에 따른 주민 대피·구호 수송로 확보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원자력시설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할 때 대피 등과 같은 주민보호대책을 사전에 집중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설정하는 구역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남북 10축 고속도로는 동해안 시대를 열어갈 국가 산업 물류 네트워크의 핵심축이다경북도에서는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수립하는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지방이 잘사는 경쟁력 있는 대한민국, 초일류 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기사등록 : 박희성기자
# [경북미디어뉴스]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